지체장애의 정의와 원인 다운받기
지체장애의 정의와 원인
1. 지체장애의 정의
지체장애의 용어는 "특수교육진흥법"에서는 교육적인 차원에서 `지체부자유`로,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장애 판정기준 차원에서 `지체장애`로 규정해 놓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제정되면서 `지체부자유`로 규정하여 사용되어 왔던 용어가 `지체장애`로 장애 범주명이 바뀌게 되었다. 그러나 장애 범주명이 바뀌었다 하더라도 특수교육 대상아동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특수교육 대상아동은 "장애인복지법"에서 제시한 지체장애로 판정받은 아동이 아니라 뇌병변장애로 판정받은 아동들이다. 따라서 지체부자유아동이든 지체장애아동이든 특수교육에서 그들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는 `기능 ․ 형태상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몸통의 지지 또는 팔다리의 움직임 등에 어려움을 겪는 신체적 조건이나 상태로 인해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으로 지체장애에 관해 정의를 해 놓고 있다.
또한 "장애인복지법"에서 제시한 지체장애 정의를 보면, 대분류로 신체의 일부를 잃은 사람, 관절장애가 있는 사람, 지체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신체에 변형 등의 장애가 있는 사람으로 분류하고 1-6급까지로 세 분류를 하고 있다. 뇌병변장애에 관한 정의를 보면 보행이 불가능하거나 일상생활 동작을 거의 할 수 없어 도움과 보호가 필요한 사람(1급)에서 보행 시 파행을 보이거나 섬세한 일상생활 동작이 경중한 정도로 제한된 사람(6급)으로 정의하고 있다.
안병즙(1978)은 지체장애란 원인에는 관계없이 지체의 기능에 부자유로 인하여 그대로 두면 장차 자활이 곤란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여기서 지체란 체간과 사지를 말한다. 체간은 척추를 중축으로 한 상반신으로 두부()와 몸통을 의미한다. 특히,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두부를 지지하면서 운동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체간의 부자유로 인해서 정적인 지지능력, 동적인 운동기능, 형태 이상에 의한 운동기능에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전헌선 외, 2006). 사지는 상지와 하지를 말하는데, 상지는 일상생활과 작업 활동에 관련되고 하지는 서기, 걷기 등과 같은 이동기능에 관련된다.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대부분의 지체장애아동은 신체 ․ 감각에 장애가 있는 아동들로서 중복장애를 수…(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