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 총정리 슈퍼서브 자료 레포트
[목차]
제1장 세계의 과학사
제2장 연력
제3장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간극
제4장 과학사의 역할
제5장 두가지의 과학사
제6장 과학의 정의
제7장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과학
제8장 그리스의 과학
제9장 헬레니즘 과학(Greece + Orient)
제10장 전기 중세과학(500 - 1000)
제11장 후기 중세과학(후기:1000 - 1500)
제12장 과학혁명
제13장 뉴턴 (1642 - 1727) 플라톤주의자
과학사는 한시대의 전반적인 지적 활동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이므로 사회와의 모든 측면과 동적인 과정을 통하여 과학을 연구하므로 자연과학의 모든 분야와 연관 과학의 전체 모습을 조감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된다. →과학의 본질에 접근
제5장 두가지의 과학사
내적인 접근 방법(Internal Approach) 내적과학사
과학의 영역은 폐쇄된 영역이다.
따라서 과학의 발전에는 과학외적인 요인이 작용할 수 없다. 독자적인 역사과정을 걸어온 것이므로 과학의 내부적인 논리적인 전개를 통하여 과학사를 이해하려는 것
A. Koyre(1982 - 1964)에 의해 시작 <1939 갈릴레오 연구>
근대과학이 주제가 되는데 근대과학의 원동력을 내부에서 찾고있다. 외적인 것과는 무관하게 과학혁명이 진행됨. 17세기 과학자들이 보여주는 지적태도의 변화에 의해 과학혁명이 진화. 결국 전 과학의 역사속에서 과학이 있게한 원인은 자연을 대하는 사고의 변화이다.
과거 과학자들의 사고를 연구 어떤 철학적 배경속에서 어떠한 사고를 하게 되는가 “개념적 분석”의 방법 과학내용의 논리적인 전개과정에서 과학사를 이해 내적 과학사들이 다루는 내적사료는 과거의 과학자들의 저서이다.
ex) 그들의 의문은 무엇인가? 어떠한 hypothesis와 expriment를 갖고 있었는가?
외적인 접근법(External Approach)외적과학사
과학도 하나의 사회활동이다.
따라서 과학의 발전에는 과학과 그외의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이루어지므로 진정한 과학의 이해에는 그러한 상호작용의 이해가 필요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