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르트의 ‘방법서설’ 레포트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방법서설`이란 한마디로 이성을 통해 모든 학문의 진리를 찾는 `방법` 에 관한 책이다. 이제 이 `방법서설`을 중심으로 데카르트의 주요 사상들을 살펴봤습니다. 여러분에게 많은 활용이 있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시험 잘 보시길 바랍니다.
I. 데카르트에 대해
II. 방법서설에 대해
III. 내용
1. 방법의 조건들과 도덕률
2. `사유의 제1원리`와 그 적용
프랑스의 철학자 데카르트는 근대철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가 관심을 둔 문제는 새로운 지식을 얻는 문제가 아니라,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의 내용이 확실한가를 확인해보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는 모든 것을 의심해 보면서 (이를 `방법적 회의`라고 함) 의심의 여지가 없는 확실한 진리, 즉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를 발견했다.
데카르트의 이런 생각들은 1637년에 간행된 `방법서설`에서 이야기되고 있다.
`방법서설`이란 한마디로 이성을 통해 모든 학문의 진리를 찾는 `방법` 에 관한 책이다. 이제 이 `방법서설`을 중심으로 데카르트의 주요 사상들 을 함께 더듬어보자.
II. 방법서설에 대해
우선 `방법서설`을 펴들면, 다음과 같은 부제목이 눈에 들어온다. `이성 을 옳게 인도하여 여러 학문에 있어서 진리를 구하기 위한 방법서설.` 그러니까 방법이란, 이성을 잘 이끌어서 모든 학문의 진리를 찾는 방법을 의 미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전체가 6부로 나누어져 있는데, 제1부는 기존의 여러 학문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 것이고, 제2부는 자신이 발견해 낸 방법을 개 략적으로 설명한 부분이며, 제3부는 방법을 찾아가는 데 있어서 요구되는 도덕법칙을 다루고 있고, 제4부에서는 철학의 기초로 중요한 신의 존재증 거와 인간의 영혼이 다루어지고 있으며, 제5부는 그가 발견한 방법을 일반 자연과학에 적용하는 문제를 논하는 데 할애되고 있다. 마지막 제6부에서 는 자연을 탐구하는 방법을 더 진전시키기 위해 무엇이 요구되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III. 내용
데카르트는 영국의 경험론에 대비되는 `대륙(유럽대륙)의 합리론자`라고 알려져 있다. 그 이름에 걸맞게 `방법서설`의 첫 부분부터 `이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 세상에서 가장 고르게 잘 분배된 것이 양식이다. ...(중략)... 그것 은 옳게 판단하고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힘, 바로 우리가 양식(良識) 또는 이성(理性)이라고 부르는 그 힘이 모든 사람에게 본래부터 골고루 분배되 어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런데 우리들의 의견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우리들의 생각이 서로 다르고, 다른 일들을 생각하고 있다는 증거일 뿐, 이성의 차이는 결코 아니다.`
다음 부분에서도 좀더 자세하게 이성에 대해 말한다.
`이성은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어주며 우리를 짐승과 구별지어 주는 유일 한 것인 한, 나는 그것이 각 사람 안에 고스란히 들어있는 것으로 믿고 싶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3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파일이름 : 데카르트의 ‘방법서설’.hwp
키워드 : 데카르트의,‘방법서설’
자료No(pk) : 16088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