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이론 정리(정신분석적 성격이론,행동주의적 성격이론,인지발달이론) 레폿
[목차]
■ 정신분석적 성격이론
■ 행동주의적 성격이론
2. 반두라의 사회 학습 이론
■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의 인지이론
1. 주요개념
2. 인지발달의 단계
(2) 원초아 (id) : 완전히 무의식적이며, 본능과 충동의 원천으로서 마음의 에너지 저장고
(3) 자아(ego) : 조직적이고 구체적인 정신구조로 간주
원초아로부터 발달 / 충동, 쾌락 추구와 현실에 대한 적절한 대응
(4) 초자아(superego) : 양심과 자아이상으로 이루어진 정신구조의 최고단계 자아로부터 발달
도덕규범, 가치관 이상이 아동의 성격구조에 자리잡아 초자아 발달
2) 마음의 지향학적 모형
- 의 식: 현재 느끼거나 알 수 있는 모든 경험과 감각
- 전의식: 현재 의식되지는 않지만 전에 의식했던 것이 저장된 것으로 주의집중을 통해 쉽게 의식될 수 있는 경험
- 무의식: 정신내용의 대부분을 형성하며 인간행동을 결정하는 주된 원인 (소망. 공포,충동, 억압된 기억 등이 저장되어 있는 무의식이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
3) 마음의 구조적 모형
*의식 혹은 의식 가까운데 억압과정이 있다고 보고 구조적 가설을 세움
: 마음을 원초아,자아,초자아 세 부분으로 나눈 모형제시
- 원초아 : 무의식
- 자아,초자아 : 무의식,전의식,의식 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음
(1) 원초아 -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쾌락원칙에 따라 움직인다.
- 긴장을 해소시키는 두 가지 기제 : 반사행동과 일차과정사고가 있다
*반사행동: 선천적이고 자동적인 행동 (재채기 눈 깜박이는 것)
*일차과정사고 : 욕구를 만족시키는 대상의 심상을 기억 속에서 만들어 내는 것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