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학습자들의 일반적인 학습의 특성과 신체적,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학습의 특성을 제시하시오 업로드
[목차]
참고문헌
성인학습자들의 일반적인 학습의 특성과 신체적,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학습의 특성을 제시하시오.
1. 사회적 특성
1) 나이
일반적으로 신체적 연령, 즉 역연령(chronological age)인 나이를 기준으로 인생주기의 단계를 나누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성장과 발달 및 사망은 단순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 외의 다른 요인에 의해 결정 되는 경우도 많다. 이에 인간이 나이 먹는 것 또는 노화과정과 관련해서도 단순한 신체적 연령뿐만 아니라 인생주기와 관련한 여러 형태의 나이를 고려해야한다(윤진, 1999).
한 개인의 나이를 말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을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종합적으로 나이를 평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첫째, 신체적 나이로 흔히 역연령이 있다. 출생 후 지나간 기간으로, 이 나이는 개인의 능력이나 의지와는 상관없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1년씩 늘어나는 것으로 우리 사회의 법률 및 관습의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둘째, 생물학적 나이(biological age)이다. 개개인의 생리적 ․ 생물학적 발달정도와 신체적 건강 수준을 말한다. 개개인의 신체적 활력 정도를 나타내며, 혈압, 폐활량, 근육의 유연성 등으로 파악한다.
신체적 나이가 같더라도 생물학적 나이가 적으면 그만큼 잔여 수명이 더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심리적 나이(psychological age)이다. 신체적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심리적 성숙과 적응이 동시에 이루어져 자신의 삶의 발달단계를 자각하는 나이이다.
통상 성인들은 20세 전후에 이르러 자아정체감이 생겨 자신이 누구인지 또 장래계획을 뚜렷이 하게 된다.
참고로 신체적 나이는 많아도 심리적으로는 덜 성숙한 사람이 있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넷째, 사회적 나이(social age)이다. 이는 사회에서 규범으로 정해 놓은 나이로서 교육받을 시기, 결혼 및 출산의 시기, 취업의 적령기 등이다. 성인은 사회적 나이에 따라 지위가 결정되고 자신에 대한 기대감이 다르게 된다. 따라서 20대,40대, 60대는 각기 다…(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