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법 상 장애의 정의와 법률상의 정의를 통해 그려지는 장애인의 이미지를 설명하고, 학습자의 법률상의 정의에 대한 동의 여부와 그 이유를 근거를 들어 서술하시오 다운받기
장애인복지법 상 장애의 정의와 법률상의 정의를 통해 그려지는 장애인의 이미지를 설명하고, 학습자의 법률상의 정의에 대한 동의 여부와 그 이유를 근거를 들어 서술하시오
Ⅰ. 서론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은 신체적ᆞ정신적 손상 또는 기능상실이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주는 상태에 있는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즉, 장애인복지법 제2조(정의) 1항 2호 및 3호에 따르면 ‘신체적ᆞ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라고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법 조항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장애인과 동일하게 대우받기를 원하는 장애인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장애인들은 자신들의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일반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누리기보다는 복지혜택을 누리는 데 만족하며 살아가고 있다.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의 정의와 법률상의 정의를 통해 그려지는 장애인의 이미지를 설명하고, 학습자의 법률상의 정의에 대한 동의 여부와 그 이유를 근거를 들어 서술하고자 한다.
Ⅱ. 본론
우리 사회에서는 장애인이라는 용어 자체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장애’라는 단어에는 신체적 결함 또는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편견 어린 시선이 담겨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많은 장애인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법상에서의 장애인과 일상생활에서의 장애인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발생하며, 그 괴리감 때문에 다양한 갈등이 야기되기도 한다. 하지만 현행 「장애인복지법」 제2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에서는 장애인을 ‘신체적ᆞ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장애인이란 단지 몸이 불편한 사람일 뿐이며, 비장애인과 동일한 권리를 가지고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하는 인간임을 명시하고 있다.
현행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서는 ‘신체적ᆞ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장애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신체적 기능 또는 정신적 능력이 원활하지 않아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