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 Up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
목차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

Ⅰ.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

1. 사회과학성
2. 이론과학성 및 실천과학성
3. 과학성 및 기술성
4. 규범과학성
5. 방법적 총합성

Ⅱ. 경영학의 인접과학

1. 경제학
2. 회계학
3. 행동과학
4. 산업사회학
5. 산업심리학
6. 경영과학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

1.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사회과학성

경영학은 사회과학이다. 사화과학이란 원래 인간의 사회적 사상에 관한 모든 과학적 연구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인간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별경제와 거기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경제적인 활동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경영학은 당연히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간주되고 있다. 사회과학은 인류문화발전에 유용성과 실용성을 부여하는 것을 그 사명으로 하고 있다.
다만 경영학은 경제학이나 사회학과 같이 거시(...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




목차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

Ⅰ.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

1. 사회과학성
2. 이론과학성 및 실천과학성
3. 과학성 및 기술성
4. 규범과학성
5. 방법적 총합성

Ⅱ. 경영학의 인접과학

1. 경제학
2. 회계학
3. 행동과학
4. 산업사회학
5. 산업심리학
6. 경영과학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

1.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사회과학성

경영학은 사회과학이다. 사화과학이란 원래 인간의 사회적 사상에 관한 모든 과학적 연구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인간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별경제와 거기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경제적인 활동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경영학은 당연히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간주되고 있다. 사회과학은 인류문화발전에 유용성과 실용성을 부여하는 것을 그 사명으로 하고 있다.
다만 경영학은 경제학이나 사회학과 같이 거시(macro)적인 종합현상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미시(micro)적인 관점에서 의사결정자인 인간이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행동하는 주체적 측면을 다루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2) 이론과학성 및 실천과학성

경영학은 다른 사회과학분야와는 달리 매우 동태적인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즉 경영학은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경영을 그 연구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경영학 자체도 이에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는 경영학이 다른 사회과학분야와는 달리 지식을 위한 지식의 체계일 뿐만 아니라 실천(Practice)을 위한 지식의 체계라는 이론과 실천의 양면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경영학은 이론과학(theoretical science)의 입장에서 구축된 이론이나 모태를 실천과학(Practical science)의 입장에서 실제에 적용시키려고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3) 과학성 및 기술성

경영학이 이론과 실천의 학문으로서 양면적 성격을 지닌 점에 그 특색이 있다면, 과학성과 기술성을 지닌 것으로 규정되어 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경영학이 고유의 연구대상을 지님으로써 하나의 학문이나 과학이기 때문이며, 또한 실천적 이론경영학의 성격상 기술면에도 상당한 판심을 기울이지 않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4) 규범과학성

현대기업은 수많은 이해자 집단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들의 이해를 조정하고 나아가서는 이익을 증진시킬 사명과 책임이 있다. 따라서 경영에는 당연히 경영윤리가 있는데 이러한 사정은 곧 경영학에 대해 규범과학으로서의 성격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5) 방법적 총합성

경영학의 방법적 특징은 무엇보다도 총합성에 있다. 즉 경영학의 연구대상을 기업에 있어서의 경제현상에만 국한한다면 경제학의 한 분야에 지나지 많으나, 경영학은 기업의 경제현상뿐만 아니라 조직활동이나(조직행동론), 심리적인 측면(산업 또는 경영심리학), 사회적인 측면(산업 또는 경영사회학), 기술적인 측면(경영과학 또는 산업공학), 인간행동의 측면(행동과학)등도 원용하기 때문에 총합성을 띠고 있으며, 이른바 학제적(interdisciplinary)과학의 성격을 띠고 있다.
요컨대 경영학은 경영을 그 연구대상으로 하는 이론 내지 실천적 사회과학으로서, 이론과 실천 그리고 과학과 기술(arts)의 양면성을 가진 학문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방법적으로는 학제적 과학의 성격을 띠고 있다.

2. 경영학의 인접과학

(1) 경제학(economics)

경제학은 사회현상으로서 경제현상 전반에 관한 지식체계로서 전체경제를 다루는 것이므로 개별경제로서의 기업의 경영 내지는 그 경제적 측면을 다루는 경영학과는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2) 회계학(accounting)

회계학은 주로 기업 활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제적 가치의 변동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기록, 계산함으로써 경영의 실테를 계속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기업내외의 관계자에게 알리는 것을 과제로 하는 학문이다. 소박한 의미에서의 회계행위는 인간의 경제적 활동과 더불어 오래되었으나, 회계의 기술적 계산의 메커니즘은 경영학과 마찬가지로 중세 이탈리아에서 그 기초가 확립되었다. 그리고 회계학은 독일에서 경영경제학의 한 분야로서 방법론적, 이론적으로 심화되어 발전되었다. 한편 영미의 기술론적, 실천적 회계학은 산업혁명후의 영국에서 형성되어, 이것이 미국에 도입되기에 이르러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3) 행동과학(behavioral science)

인간행동의 연구에 대하여 생리학, 생물학, 심리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등 제 과학이 그 한정된 자기 영역을 초월하여 학제적 접근방법(interdisciplinary approach)을 적용하는 사회과학의 방법을 행동과학이라 한다. 특히 경영학의 중심대상인 조직은 사회학, 심리학, 경제학이나 기존의 경영학등 사이의 학제적 접근방법을 본래 필요로 하는 학문영역을 이루고 있으며, 조직 내지 경영의 행동과학이 성립되고 있다. 경영의 행동과학은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발전되어 왔다. 하나는 의사결정의 행동과학이며, 조직에 있어서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하여 행동과학적으로 해명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바나드(C. I. Barnard), 사이몬(H. A. Simon)에 의한 근대조직론의 흐름이며, 또 다른 하나는 인간관계연구를 시발점으로 하여 종업원의 사기(morale)나 리더쉽에 대하여 행동과학적 연구를 하는 것으로서 리커트(R. Likert), 아지리스(C. argris)등에 의해 전개되고 있다.

(4) 산업사회학(industrial sociology)

제 2차 대전 후 급속히 알달된 학문으로서 산업에 핀한 제 과학, 즉 경영학, 산업심리학, 노동경제학 등이 종래 등한시해온 기업 경영체에 있어서의 인간적 측면이나 사회적 측면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연구분야로서는 직장집단의 인간적 측면을 주로 연구하는 노동관리의 영역, 노동조합조직의 인간적 측면을 주로 연구하는 노동조합의 영역, 기업과 노동조합간의 이른바 노사관계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hwp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hwp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hwp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hwp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h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5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
파일이름 : 경영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과학.hwp
키워드 : 경영학,학문적,성격과,인접과학,경영학의
자료No(pk) : 11039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