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자료 현대인과 질병에 관해서 다운
현대인과 질병에 관해서
요즈음 현대인들은 푸른 하늘과 먼 산을 바라보거나 달구경을 할 시간이 거의 없는 바쁜 생활을 하고 있다. 과학의 발달에 의한 사회구조의 변화 및 일상생활의 기계화와 자동화에 의한 신체활동의 부족과 날로 복잡해지는 생활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고 있다. 그리고 바쁜 현대생활로 인해 식습관의 변화 또한 무시하지 못할 사항이다. 그로 인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질병이 발병하며 심지어 사망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또 여러 가지 예상치 못한 바이러스로 인해 요즘은 괴질까지 극성을 부리고 있다. 그래서 현대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은 무엇이고 어떻게 생겨났으며 우리는 그것을 막기 위해 어떠한 노력들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레포트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어떻게 보면 아주 광범위한 범위일수 있지만 예전부터 있어왔던 질병이 아닌 요즘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들로 인한 질병들을 분석해보려고 한다.
현대인의 질병의 특징에 관하여 말한다면 첫째가 성인병이라 하겠다. 통계에 의하면, 40세 이상에서는 성인병을 가진 사람이 반정도 된다고 말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고혈압, 뇌경색, 심근경색, 혹은 전신의 동맥경화 등 이러한 병들이 이만저만 늘어난 것이 아니다. 1985년도 한국 통계로는 100명의 사망자 가운데에서 암으로 죽은 사람이 15명이나 된다. 1986년도 일본의 통계로는 24.9명으로 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성인병과 암이 최근 20,30년 동안 몇 십 배로 증가되고 있는 것이 현대병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퇴행성관절염의 증가를 들 수 있다. 이것은 관절 사이의 연골 또는 교질이 감소되는 질병이다. 옛날에는 이것을 노인성 관절염이라고 했지만 요즘에는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도 많이 볼 수 있어서 30, 40세에 걷는 것조차 부자유스런 사람도 있고, 추간판(椎間板) 헤르니아를 30세 미만에 앓는 사람도 크게 증가했다.
그 다음으로는 신장병이다. 신장기능부전이라고 해서 콩팥의 기능이 돌연히 저하되기도 하고 파괴되는 병으로 이제는 10대나 20대에서도 많이 볼 수 있게 되었다.
또 간장병도 증가되고 있다. 한국에선 병원을 찾는 사람의 3분의 1은 간장에 이상이 있다고 한다.
현대의학에서는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항생물질이나 화학약품을 아주 많이 사용하지만, 소비자는 식생활에…(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