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장 E의 방향은 그 점에서 전위 V가 가장 급격히 감소하는 방향이며, 이 두 점은 등전위선상에 있는 점이다.hwp 등위전선. 10) 이 유선에 수직인 방향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위차도 없다. 따라서. * 등전위면 : 저위가 같은 점을 연결한 선이나 면을 등전위선이라고 한다. 한편. 6) 따라서,n은 등전위선 (면)에 수직인 단위벡터이다 9) 편의상 2차원 평면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그 방향으로의 미소변위를 dl 하면, 전기장 E는 등전위선 (면)에 수직이 된다. ① 등전위면 위의 모든 점에서는 전위가 같으므로 전위차는 0이다.hwp 등위전선.hwp 문서자료 (DownLoad). 11) 이와 같은 점을 이은 선은 등전위선이 된다. ④ 등전위면과 전기력선은 항…(생략) 등위전선. 5) +Q의 점전하와 -Q 의 점전하가 공간에 놓여 있을 때는 그림 1 (b) 와 같은 전력선과 등전위면을 그릴 수 있다..zip 3. 등전위선 위의 모든 점들은 전위차가 없으므로 등전위면 위에서 전하를 움직일 때 일이 필요 없다. 이론 1) 전위차를 가진 두 전극 사이에는 ......
등위전선 레폿
등위전선.hwp 문서자료 (DownLoad).zip
3. 이론
1) 전위차를 가진 두 전극 사이에는 항상 전기장이 존재한다.
2) 시험전하 q가 이 전기장 내에서 힘 F를 받을 때, 그 점에서의 전기장은 E=F/q로 정의된다. 한편. 그 점의 전위 V는 단위전하당의 위치에너지로 정의된다.
3) 전기장 내에는 같은 전위를 갖는 점들 이 존재한다. 이 점들을 연결하면 3차원에서는 등전위면을. 2차원에서는 등전위선을 이룬다.
4) 전기력선이나 등전위면은 전기장 내에서 무수히 많이 그릴 수 있다. 하나의 점 전하 Q가 만드는 전기장의 전력선은 Q가 있는 점을 증심으로 하는 방사선이며 (그림1 (a)), 등전위면은 Q점을 증심으로 하는 동심구면이 된다.
5) +Q의 점전하와 -Q 의 점전하가 공간에 놓여 있을 때는 그림 1 (b) 와 같은 전력선과 등전위면을 그릴 수 있다. 등전위면 위에서 전하를 이동시키는데 하는 일은 0이므로, 그 면에 접한 방향에는 전기장의 값이 없다.
6) 따라서, 전기장의 세기는 그 면에 수직이다. 전기장이 일을 한다는 것은 정전하가 전위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해가는 경우이므로, 전력선은 전위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향한다.
7) 따라서, 전기장 E의 방향은 그 점에서 전위 V가 가장 급격히 감소하는 방향이며, 그 방향으로의 미소변위를 dl 하면, E와 V 사 이의 관계식은
이다.
8) 따라서, 전기장 E는 등전위선 (면)에 수직이 된다. n은 등전위선 (면)에 수직인 단위벡터이다
9) 편의상 2차원 평면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어느 도체판의 두 단자를 통해서 전류를 흘릴 때 도체판 내에서의 전류의 유선의 방향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낸다.
10) 이 유선에 수직인 방향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위차도 없다.
11) 이와 같은 점을 이은 선은 등전위선이 된다. 따라서. 도체판상의 두 점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이 두 점은 등전위선상에 있는 점이다.
* 등전위면 : 저위가 같은 점을 연결한 선이나 면을 등전위선이라고 한다. 등전위선 위의 모든 점들은 전위차가 없으므로 등전위면 위에서 전하를 움직일 때 일이 필요 없다.
① 등전위면 위의 모든 점에서는 전위가 같으므로 전위차는 0이다.(V=0)
② 등전위면을 따라 전하를 이동시킬 때는 V가 0이므로 일의 양도 0이다(W=0)
③ 전하가 전기장으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은 등전위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다.
④ 등전위면과 전기력선은 항…(생략)
등위전선.hwp 등위전선.hwp 등위전선.hwp 등위전선.hwp 등위전선.hwp
ED 등위전선 레폿 ED ED 레폿 등위전선 레폿 등위전선
등전위면 위에서 전하를 이동시키는데 하는 일은 0이므로, 그 면에 접한 방향에는 전기장의 값이 없다.. 등전위선 위의 모든 점들은 전위차가 없으므로 등전위면 위에서 전하를 움직일 때 일이 필요 없다. 전기장이 일을 한다는 것은 정전하가 전위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해가는 경우이므로, 전력선은 전위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향한다. 11) 이와 같은 점을 이은 선은 등전위선이 된다. 등위전선 레폿 NB .hwp 문서자료 (DownLoad).hwp 등위전선. 5) +Q의 점전하와 -Q 의 점전하가 공간에 놓여 있을 때는 그림 1 (b) 와 같은 전력선과 등전위면을 그릴 수 있다. 2) 시험전하 q가 이 전기장 내에서 힘 F를 받을 때, 그 점에서의 전기장은 E=F/q로 정의된다. 이론 1) 전위차를 가진 두 전극 사이에는 항상 전기장이 존재한다. n은 등전위선 (면)에 수직인 단위벡터이다 9) 편의상 2차원 평면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어느 도체판의 두 단자를 통해서 전류를 흘릴 때 도체판 내에서의 전류의 유선의 방향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낸다. 2) 시험전하 q가 이 전기장 내에서 힘 F를 받을 때, 그 점에서의 전기장은 E=F/q로 정의된다. 등위전선 레폿 NB . 등위전선 레폿 NB . 10) 이 유선에 수직인 방향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위차도 없다. ① 등전위면 위의 모든 점에서는 전위가 같으므로 전위차는 0이다. 5) +Q의 점전하와 -Q 의 점전하가 공간에 놓여 있을 때는 그림 1 (b) 와 같은 전력선과 등전위면을 그릴 수 있다.. 등위전선 레폿 NB . 도체판상의 두 점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이 두 점은 등전위선상에 있는 점이다. 이론 1) 전위차를 가진 두 전극 사이에는 항상 전기장이 존재한다. 등전위선 위의 모든 점들은 전위차가 없으므로 등전위면 위에서 전하를 움직일 때 일이 필요 없다.등위전선 레폿 등위전선. 등위전선 레폿 NB . 이 점들을 연결하면 3차원에서는 등전위면을.(V=0) ② 등전위면을 따라 전하를 이동시킬 때는 V가 0이므로 일의 양도 0이다(W=0) ③ 전하가 전기장으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은 등전위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다. 그 점의 전위 V는 단위전하당의 위치에너지로 정의된다. 이 점들을 연결하면 3차원에서는 등전위면을. 하나의 점 전하 Q가 만드는 전기장의 전력선은 Q가 있는 점을 증심으로 하는 방사선이며 (그림1 (a)), 등전위면은 Q점을 증심으로 하는 동심구면이 된다. ④ 등전위면과 전기력선은 항…(생략) 등위전선. 2차원에서는 등전위선을 이룬다. 등위전선 레폿 NB . 10) 이 유선에 수직인 방향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위차도 없다. 한편. 등위전선 레폿 NB .hwp 등위전선. ① 등전위면 위의 모든 점에서는 전위가 같으므로 전위차는 0이다. 4) 전기력선이나 등전위면은 전기장 내에서 무수히 많이 그릴 수 있다. 등위전선 레폿 NB . 등위전선 레폿 NB . 11) 이와 같은 점을 이은 선은 등전위선이 된다.zip 3. ④ 등전위면과 전기력선은 항…(생략) 등위전선. n은 등전위선 (면)에 수직인 단위벡터이다 9) 편의상 2차원 평면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어느 도체판의 두 단자를 통해서 전류를 흘릴 때 도체판 내에서의 전류의 유선의 방향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낸다. 7) 따라서, 전기장 E의 방향은 그 점에서 전위 V가 가장 급격히 감소하는 방향이며, 그 방향으로의 미소변위를 dl 하면, E와 V 사 이의 관계식은 이다.hwp 등위전선.등위전선 레폿 NB . 한편.(V=0) ② 등전위면을 따라 전하를 이동시킬 때는 V가 0이므로 일의 양도 0이다(W=0) ③ 전하가 전기장으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은 등전위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다. 도체판상의 두 점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이 두 점은 등전위선상에 있는 점이다.등위전선 레폿 등위전선. 하나의 점 전하 Q가 만드는 전기장의 전력선은 Q가 있는 점을 증심으로 하는 방사선이며 (그림1 (a)), 등전위면은 Q점을 증심으로 하는 동심구면이 된다. 6) 따라서, 전기장의 세기는 그 면에 수직이다.hwp 등위전선. 등위전선 레폿 NB . 8) 따라서, 전기장 E는 등전위선 (면)에 수직이 된다. * 등전위면 : 저위가 같은 점을 연결한 선이나 면을 등전위선이라고 한다.hwp 등위전선.zip 3. * 등전위면 : 저위가 같은 점을 연결한 선이나 면을 등전위선이라고 한다. 3) 전기장 내에는 같은 전위를 갖는 점들 이 존재한다. 그 점의 전위 V는 단위전하당의 위치에너지로 정의된다. 전기장이 일을 한다는 것은 정전하가 전위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해가는 경우이므로, 전력선은 전위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향한다. 4) 전기력선이나 등전위면은 전기장 내에서 무수히 많이 그릴 수 있다. 2차원에서는 등전위선을 이룬다.hwp 문서자료 (DownLoad).hwp 등위전선.hw 따라서.hwp 등위전선. 8) 따라서, 전기장 E는 등전위선 (면)에 수직이 된다.. 7) 따라서, 전기장 E의 방향은 그 점에서 전위 V가 가장 급격히 감소하는 방향이며, 그 방향으로의 미소변위를 dl 하면, E와 V 사 이의 관계식은 이다. 등전위면 위에서 전하를 이동시키는데 하는 일은 0이므로, 그 면에 접한 방향에는 전기장의 값이 없다. 6) 따라서, 전기장의 세기는 그 면에 수직이다. 등위전선 레폿 NB . 3) 전기장 내에는 같은 전위를 갖는 점들 이 존재한다. 따라서.hwp 등위전선.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