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6,wp 문서자료 (열기).hwp 청각장애아의 특성 (2). 즉 청각장애아동들에게 알맞은 검사도구와 의사소통 양식을 사용하면 그들의 잠재능력은 정상이라는 것이다.hwp.따라서 초기 연구자들은 이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지적 능력에 기초를 둘 것이 아니라 운동 및 기계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하였다(Pintner, 1980). 과거에 그들의 인지발달이 지체된다는 생각은 아동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사용된 검사의 성격 및 절차상의 문제로 본다. ․ 검사과제가 언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경우에는 그들의 사고과정이 건청아동들과 동일하다(Furth, 1960). 2.hwp 청각장애아의 특성 (2. , 1971 ; Vernon, 1967). 지적 특성 피아제(Piaget)는 언어가 지능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지능이 언어발달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청각장애아의 특성 (2). 1/ 1900-1950년 사이의 연구에서는 농아동들의 인지발달이 건청아동들에 비해 3-4년 뒤떨어지며 IQ는 규준에 비해 10점 정도 ......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청각장애아의 특성 (2).hwp 문서자료 (열기).zip
청각장애아의 특성
1. 지적 특성
피아제(Piaget)는 언어가 지능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지능이 언어발달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이는 모국어를 전혀 습득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습득한 청각장애아동들도 건청아동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수준의 지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청각장애아동의 지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청각장애아동의 지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는 지능검사가 개발된 초기부터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1900-1950년 사이의 연구에서는 농아동들의 인지발달이 건청아동들에 비해 3-4년 뒤떨어지며 IQ는 규준에 비해 10점 정도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Meadow, 1980).따라서 초기 연구자들은 이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지적 능력에 기초를 둘 것이 아니라 운동 및 기계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하였다(Pintner, 1941).
2/ 1950년대 연구자들은 청각장애 아동들의 일반지능이 건청아동에 비해 열등하지 않으며, 일부 검사결과에서 그들의 지능지수가 낮게 나타난 것은 선천성 농아동들이 지각적 ․ 개념적 처리과정을 정상적으로 발달시키지 못한 결과라고 하였다(Myklebust, 1953, 1960).
3/ 오늘날 학자들의 견해는 청각장애아동의 지능은 건청아동과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과거에 그들의 인지발달이 지체된다는 생각은 아동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사용된 검사의 성격 및 절차상의 문제로 본다. 즉 청각장애아동들에게 알맞은 검사도구와 의사소통 양식을 사용하면 그들의 잠재능력은 정상이라는 것이다.
2. 개념 형성
농아동의 사고과정을 검사하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검사과제가 언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경우에는 그들의 사고과정이 건청아동들과 동일하다(Furth, 1964, 1966, 1971 ; Vernon, 1967b).
․ 취학 전 아동들을 대상으로 피아제식 과제를 이용한 연구에서 농아동이 건청아동에 비해 다소 뒤떨어졌으나 의의 있는 수준이 아니다(Bond, 1987).
․ 언어능력이 아주 낮은 아동들보다 언어를 다소 획득한 농아동들이 훨씬 높은 성취를 보였다(Schlesinger와 Meadow, 1972 ; Silverman, 1967).
․ 언어가 제한된 농아등들은 일부 추상적인 개념의 습득이 현저하게 늦지만 이것은 청각장애아와 주변 사람들…(생략)
청각장애아의 특성 (2).hwp 청각장애아의 특성 (2).hwp 청각장애아의 특성 (2).hwp
EH 청각장애아의 레폿 EH 레폿 EH 특성 레폿 (2) 특성 특성 (2) 청각장애아의 청각장애아의 (2)
청각장애아동의 지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는 지능검사가 개발된 초기부터 이루어졌.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 1/ 1900-1950년 사이의 연구에서는 농아동들의 인지발달이 건청아동들에 비해 3-4년 뒤떨어지며 IQ는 규준에 비해 10점 정도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Meadow, 1980). 이는 모국어를 전혀 습득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습득한 청각장애아동들도 건청아동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수준의 지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청각장애아동의 지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청각장애아의 특성 (2). ․ 언어가 제한된 농아등들은 일부 추상적인 개념의 습득이 현저하게 늦지만 이것은 청각장애아와 주변 사람들…(생략) 청각장애아의 특성 (2).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hwp 문서자료 (열기).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hwp 청각장애아의 특성 (2). 3/ 오늘날 학자들의 견해는 청각장애아동의 지능은 건청아동과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 과거에 그들의 인지발달이 지체된다는 생각은 아동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사용된 검사의 성격 및 절차상의 문제로 본다.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청각장애아의 특성 (2). 개념 형성 농아동의 사고과정을 검사하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모국어를 전혀 습득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습득한 청각장애아동들도 건청아동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수준의 지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청각장애아동의 지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ip 청각장애아의 특성 1.hwp. 지적 특성 피아제(Piaget)는 언어가 지능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지능이 언어발달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따라서 초기 연구자들은 이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지적 능력에 기초를 둘 것이 아니라 운동 및 기계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하였다(Pintner, 1941). 3/ 오늘날 학자들의 견해는 청각장애아동의 지능은 건청아동과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hwp 청각장애아의 특성 (2). 2. 2/ 1950년대 연구자들은 청각장애 아동들의 일반지능이 건청아동에 비해 열등하지 않으며, 일부 검사결과에서 그들의 지능지수가 낮게 나타난 것은 선천성 농아동들이 지각적 ․ 개념적 처리과정을 정상적으로 발달시키지 못한 결과라고 하였다(Myklebust, 1953, 1960).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 1/ 1900-1950년 사이의 연구에서는 농아동들의 인지발달이 건청아동들에 비해 3-4년 뒤떨어지며 IQ는 규준에 비해 10점 정도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Meadow, 1980). 개략적인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즉 청각장애아동들에게 알맞은 검사도구와 의사소통 양식을 사용하면 그들의 잠재능력은 정상이라는 것이다.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따라서 초기 연구자들은 이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지적 능력에 기초를 둘 것이 아니라 운동 및 기계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하였다(Pintner, 1941). ․ 언어능력이 아주 낮은 아동들보다 언어를 다소 획득한 농아동들이 훨씬 높은 성취를 보였다(Schlesinger와 Meadow, 1972 ; Silverman, 1967).hwp.hwp 청각장애아의 특성 (2).hwp 문서자료 (열기). 지적 특성 피아제(Piaget)는 언어가 지능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지능이 언어발달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개념 형성 농아동의 사고과정을 검사하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검사과제가 언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경우에는 그들의 사고과정이 건청아동들과 동일하다(Furth, 1964, 1966, 1971 ; Vernon, 1967b). 청각장애아동의 지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는 지능검사가 개발된 초기부터 이루어졌 ip 청각장애아의 특성 1.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 2. 개략적인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과거에 그들의 인지발달이 지체된다는 생각은 아동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사용된 검사의 성격 및 절차상의 문제로 본다. ․ 취학 전 아동들을 대상으로 피아제식 과제를 이용한 연구에서 농아동이 건청아동에 비해 다소 뒤떨어졌으나 의의 있는 수준이 아니다(Bond, 1987). ․ 언어가 제한된 농아등들은 일부 추상적인 개념의 습득이 현저하게 늦지만 이것은 청각장애아와 주변 사람들…(생략) 청각장애아의 특성 (2). 즉 청각장애아동들에게 알맞은 검사도구와 의사소통 양식을 사용하면 그들의 잠재능력은 정상이라는 것이다.. ․ 취학 전 아동들을 대상으로 피아제식 과제를 이용한 연구에서 농아동이 건청아동에 비해 다소 뒤떨어졌으나 의의 있는 수준이 아니다(Bond, 1987). 청각장애아의 특성 (2) 레폿 EP .hwp 청각장애아의 특성 (2). ․ 언어능력이 아주 낮은 아동들보다 언어를 다소 획득한 농아동들이 훨씬 높은 성취를 보였다(Schlesinger와 Meadow, 1972 ; Silverman, 1967). ․ 검사과제가 언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경우에는 그들의 사고과정이 건청아동들과 동일하다(Furth, 1964, 1966, 1971 ; Vernon, 1967b). 2/ 1950년대 연구자들은 청각장애 아동들의 일반지능이 건청아동에 비해 열등하지 않으며, 일부 검사결과에서 그들의 지능지수가 낮게 나타난 것은 선천성 농아동들이 지각적 ․ 개념적 처리과정을 정상적으로 발달시키지 못한 결과라고 하였다(Myklebust, 1953,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