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레토효율성 다운로드
[목차]
2. 여러 가지 사회후생함수
(1) 공리주의적 사회후생함수
① 각 개인의 효용을 합하여 사회후생으로 나타내는 함수
※ 공리주의적 사회후생함수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주장한 공리주의 철학자인 벤담(J. Bentham)의 이름을 따서 벤담의 사회후생함수라고도 함
② 사회후생이 소득분배와는 관계없이 개인의 효용의 합에 의해서만 결정
→ 소득분배를 사회후생의 결정요인으로 전혀 고려하지 않음
③ 사회무차별곡선은 기울기가 -1인 우하향의 직선으로 도출(그림(a))
(2) 롤스의 사회후생함수
① 사회구성원 중 가난한 계층의 후생수준에 의하여 사회후생이 결정된다고 보는 함수
② 가장 가난한 계층의 후생이 극대화되어야 사회후생의 극대화가 달성되므로 최소극대화원칙(maximin principle)이 적용
→ 고소득층으로부터 저소득층으로 소득을 재분배하면 사회후생이 증가
※ 롤스의 사회후생함수는 극단적인 평등주의적 가치관을 내포
③ 사회무차별곡선은 L자 형태로 도출(그림(b))
(3) 평등주의적 사회후생함수
①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보다 높은 가중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