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 케이스 다운
[목차]
▶ 요실금의 문헌고찰 ◀
▶ 간호 사례 연구 ◀
이방법은 환자의 배뇨 시간과 습관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환자의 배뇨행태를 배뇨일기를 통하여 잘 관찰하고 매 1시간이나 2시간마다 규칙적으로 배뇨를 하도록 한다. 어떠한 경우라도 지정된 시간외에는 배뇨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환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이를 지킬 수 있게 되면 (대개는 수일 내에) 시간 간격을 약 30분씩 늘려간다.
우리에게 Kegel운동으로 알려져 있는 이 운동은 치골미골근 부위가 수축하게 되면 길이가 짧아지면서 두꺼워지고 골반저틈새가 횡으로 좁아져 전후 직경이 감소된다. 다시 말해 근육이 움직이지 않는 뼈에 고정되어 있어 질, 요도 및 항문 주위로 조여주게 되어 머리 방향으로 들어주게 된다.
이 치료법은 복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및 배뇨장애에도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주 목적은 환자 스스로가 배뇨형태에 대해 자각하도록 하고 요도괄약근을 강화하고 이완하는 등의 횡문근 훈련을 하는데 있다. 골반저근의 수축은 근전도라는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모니터 된다 치료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치료를 위해 생리적 데이터를 그래프 처리하여 보여주거나 스스로 깨닫고 자기조절을 좀 더 빠르게 하도록 도와주게 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