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자료 자료등록 4대강의 수질오염현황과 개선책 DownLoad
4대강의 수질오염현황과 개선책
목 차
1. 4대강
1.1. 4대강 수계권역도
1.2. 4대강 유역현황
2. 수질오염현황
2.1. 주요지점의 수질변화
2.2. 상·하류간 수질변화
2.3. 오염원이 수계에 미치는 영향
3. 개선책(4대강물관리종합대책)
3.1. 그간 수질개선대책의 한계
3.2. 4대강 물관리대책 관련 수질개선목표
3.3. 물관리종합대책의 주요내용
1. 4대강
국토의 핵심부를 이루는 4대강유역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을 말하며 국토면적의 63.7%를 차지
수도권 2,000만, 영남권 1,300 만, 충청 및 호남 900만의 소중한 수자원을 포함
1. 1. 4대강수계권역도
[Fig 1] 4대강수계권역도
구 분
한강권역
낙동강권역
금강권역
영산강권역
주요수계
북한강, 남한강
낙동강, 태화강
금강, 만경강
영산강, 섬진강
간선유로연장
(km)
481.7
521.5
395.9
136.0
유역면적
(km2)
32,200
32,280
17,767
16,886
연평균강수량
(mm)
1,286
1,137
1,268
1,400
인구(만명)
2,416
1,318
564
426
가축(만두)
346
296
315
189
배출시설(개소)
21,968
16,xxx
8,225
4,938
하수도보급률
(%)
80.9
57.7
50.9
52.3
주요상수원
팔당호,
잠실상수원
물금, 매리
대청호
주암호
1.2 4대강 유역현황
[Table 1] 4대강 유역현황
2. 수질오염현황
1988년을 정점으로 개선되던 4대강 본류의 수질은 도시화의 가중과 1994년 농림지개발이 허용됨에 따라 다시 악화
98년 한강특별대책등 수립후 약간 회복세였으나 영산강 일부지점은 4급수 정도의 수질을 보임
환경기초시설의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각 수계의 주요오염지천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
[Table 2] 수질환경기준분류 中 생활환경항목(하천)
-
2이상
쓰레기 등이
떠있지 않을것
10이하
6.0~8.5
공업용수3급
생활환경보전
Ⅴ
-
2이상
100이하
8이하
6.0~8.5
공업용수2급
농업용수
Ⅳ
5,000이하
5이상
25이하
6이하
6.5~8.5
상수원수3급
수산용수2급
공업용수1급
Ⅲ
1,000이하
5이상
25이하
3이하
6.5~8.5
상수원수2급
수산용수1급
수영용수
Ⅱ
50이하
7.5이상
25이하
1이하
6.5~8.5
상수원수1급
자연환경보전
Ⅰ
대장균군수
(MPN/
100㎖)
용존산소량
(DO)
(㎎/ℓ)
부유물질량
(SS)
(㎎/ℓ)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