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에서 상상력의 역할 레포트
Ⅲ. 문학 작품 수용에서의 상상력
문학 창작 과정에서 상상력 작동의 원리와 효용에 대해서는 코울리지류의 낭만주의적인 관점에서나 바슐라르의 창조적, 역동적 상상력의 개념들에서 쉽게 확인된다. 이런 상상력의 작동은 문학 이전과 문학 작품(텍스트)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런 측면은 시인과 작품 사이에서의 상상력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실제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에도 상상력이 작용하는 데, 이는 작품과 독자 사이에서의 상상력이며, 어떤 문학 작품을 읽어내는 능력과 관계가 있다.
이는 문학 작품의 수용 측면에서 상상력을 이야기할 수 있으며, 이런 상상력의 문제가 문학의 교수·학습에서 중요하게 취급될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더구나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에는 이를 창작한 시인보다는 이를 수용하는 독자가 중요하다. 즉 시인이 상상력을 동원하여 표현한 시작품은 결국 독자가 읽어낼 때, 텍스트의 범주에서 작품의 범주로 나아가고, 이 과정에서 상상력은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이 때 시인이 만들어낸 텍스트라는 공간과는 다른, 독자가 텍스트를 읽으면서 새로운 공간이 만들어지고, 이 공간에서는 독자에 의해서 텍스트에 의미가 새롭게 부여되게 된다.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은 독자를 통해서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문학교육의 장면에서는 교사와 학생으로 대표되는 독자의 문학적 상상력이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다. 이 부분에서는 이런 문학 작품의 수용 과정에서 독자의 상상력이 작용하는 원리와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먼저 다음의 시를 상상력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읽어내고 있는 구체적인 예를 보도록 하자.
내 마음 속 우리님의 고은 눈섭을
즈문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하늘에다 옴기어 심어 놨더니
동지 섣달 나르는 무서운 새가
그걸 알고 시늉하여 비끼어 가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