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등의식만 조장시킬 뿐이다. 5/ 칭찬을 아끼지 말며 항상 애정으로 대해야 하지만 익애는 금물이다.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hwp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 , 아버지와 어머니 또는 형제자매 사이에 서로 의견이 일치되지 않아서 한 사람은 야단을 치는데 한쪽에서는 편을 들어 준다든지 장애아를 대하는 태도가 일관성이 없으면 이는 아동교육에 막대한 지장을 준다.hwp (압축파일). 칭찬뿐 아니라 비록 실패했을 때라도 꾸짖는 대신 격려를 아끼지 않으면 장애아는 만족감이나 자신감을 가질 수 있으며 의욕을 가질 수 있다. 4/ 부모뿐 아니라 온 가족의 태도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지나친 꾸지람은 장애아로 하여금 자신감을 잃게 하고 불안감을 갖게 하고 열등의식에 사로잡히게 하며, 귀찮다고 미워하고 거절하지 말아야 하며 변함없는 꾸준한 애정적 해도로 대해야 한다.hwp.zip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1/ 될 수 있는 한 빨리 전문가와 상담을 해야 하며 전문가의 진단결과에 ......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hwp (압축파일).zip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1/ 될 수 있는 한 빨리 전문가와 상담을 해야 하며 전문가의 진단결과에 따라야 한다. 사실을 사실대로 받아들이고 긍정하는 태도를 빨리 가지면 가질수록 장애아에게는 더 효과적인 새로운 길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자녀에게 어딘가 이상이 있는 것 같아서 병원에 찾아가 진단을 받았더니 장애라고 진단이 내려겼을 때 그것을 사실로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것이 부모의 심리이다.
부모의 현명한 태도란 전문가의 진단이 엄연한 사실일 때 그 사실을 일단 받아들이고 그 사실을 긍정하는 태도이다.
2/ 부모는 죄악감이나 치욕감에서 해방되어야 한다. 부모가 죄책감이나 수치심에 사로잡힘으로써 그 마음에는 심한 갈등이 생기며 따라서 마음의 갈등은 불화와 불안, 열등의식만 조장시킬 뿐이다.
다만 부모는 현실을 직시하고 자녀를 위하여 어두움에서 벗어 나와서 자녀를 위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를 모색해야 한다.
3/ 부모는 아동의 능력 이상의 것을 요구해서는 안 된다. 장애아는 결코 비장애아와 같을 수 없으며, 장애아를 위한 교육도 비장애아로 만드는 교육이 아님을 부모는 깨달아야 한다. 장애아의 교육은 장애아를 비장애아와 같이 만드는 데 있는 것이 아니고 그들 나름대로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최대한으로 길러 주어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것이지 그 이상의 무엇을 바랄 수는 없는 것이므로 부모는 아동 자신을 존재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4/ 부모뿐 아니라 온 가족의 태도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할아버지와 할머니, 아버지와 어머니 또는 형제자매 사이에 서로 의견이 일치되지 않아서 한 사람은 야단을 치는데 한쪽에서는 편을 들어 준다든지 장애아를 대하는 태도가 일관성이 없으면 이는 아동교육에 막대한 지장을 준다.
5/ 칭찬을 아끼지 말며 항상 애정으로 대해야 하지만 익애는 금물이다. 인간에게는 인정을 받으려는 욕구가 있다.
칭찬뿐 아니라 비록 실패했을 때라도 꾸짖는 대신 격려를 아끼지 않으면 장애아는 만족감이나 자신감을 가질 수 있으며 의욕을 가질 수 있다. 지나친 꾸지람은 장애아로 하여금 자신감을 잃게 하고 불안감을 갖게 하고 열등의식에 사로잡히게 하며, 의욕을 잃게 한다. 그리고 불쌍하다고 느껴져서 정을 주고, 귀찮다고 미워하고 거절하지 말아야 하며 변함없는 꾸준한 애정적 해도로 대해야 한다.
6/ 부모는 인내심으…(생략)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hwp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hwp
BY 부모의 BY 태도 부모의 BY 장애아 장애아 장애아 등록 바람직한 태도 등록 등록 바람직한 바람직한 부모의 태도
5/ 칭찬을 아끼지 말며 항상 애정으로 대해야 하지만 익애는 금물이다.hwp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그리고 불쌍하다고 느껴져서 정을 주고, 귀찮다고 미워하고 거절하지 말아야 하며 변함없는 꾸준한 애정적 해도로 대해야 한다. 지나친 꾸지람은 장애아로 하여금 자신감을 잃게 하고 불안감을 갖게 하고 열등의식에 사로잡히게 하며, 의욕을 잃게 한다. 그리고 불쌍하다고 느껴져서 정을 주고, 귀찮다고 미워하고 거절하지 말아야 하며 변함없는 꾸준한 애정적 해도로 대해야 한다. 장애아의 교육은 장애아를 비장애아와 같이 만드는 데 있는 것이 아니고 그들 나름대로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최대한으로 길러 주어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것이지 그 이상의 무엇을 바랄 수는 없는 것이므로 부모는 아동 자신을 존재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hwp (압축파일).hwp.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 다만 부모는 현실을 직시하고 자녀를 위하여 어두움에서 벗어 나와서 자녀를 위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를 모색해야 한다.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 칭찬뿐 아니라 비록 실패했을 때라도 꾸짖는 대신 격려를 아끼지 않으면 장애아는 만족감이나 자신감을 가질 수 있으며 의욕을 가질 수 있다.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 장애아는 결코 비장애아와 같을 수 없으며, 장애아를 위한 교육도 비장애아로 만드는 교육이 아님을 부모는 깨달아야 한다. 칭찬뿐 아니라 비록 실패했을 때라도 꾸짖는 대신 격려를 아끼지 않으면 장애아는 만족감이나 자신감을 가질 수 있으며 의욕을 가질 수 있다.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 부모가 죄책감이나 수치심에 사로잡힘으로써 그 마음에는 심한 갈등이 생기며 따라서 마음의 갈등은 불화와 불안, 열등의식만 조장시킬 뿐이다. 지나친 꾸지람은 장애아로 하여금 자신감을 잃게 하고 불안감을 갖게 하고 열등의식에 사로잡히게 하며, 의욕을 잃게 한다.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 할아버지와 할머니, 아버지와 어머니 또는 형제자매 사이에 서로 의견이 일치되지 않아서 한 사람은 야단을 치는데 한쪽에서는 편을 들어 준다든지 장애아를 대하는 태도가 일관성이 없으면 이는 아동교육에 막대한 지장을 준다.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2/ 부모는 죄악감이나 치욕감에서 해방되어야 한다. 부모의 현명한 태도란 전문가의 진단이 엄연한 사실일 때 그 사실을 일단 받아들이고 그 사실을 긍정하는 태도이 사실을 사실대로 받아들이고 긍정하는 태도를 빨리 가지면 가질수록 장애아에게는 더 효과적인 새로운 길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에게는 인정을 받으려는 욕구가 있다.hwp. 다만 부모는 현실을 직시하고 자녀를 위하여 어두움에서 벗어 나와서 자녀를 위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를 모색해야 한다. 3/ 부모는 아동의 능력 이상의 것을 요구해서는 안 된다.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 3/ 부모는 아동의 능력 이상의 것을 요구해서는 안 된다.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zip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1/ 될 수 있는 한 빨리 전문가와 상담을 해야 하며 전문가의 진단결과에 따라야 한다. 4/ 부모뿐 아니라 온 가족의 태도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hwp (압축파일). 할아버지와 할머니, 아버지와 어머니 또는 형제자매 사이에 서로 의견이 일치되지 않아서 한 사람은 야단을 치는데 한쪽에서는 편을 들어 준다든지 장애아를 대하는 태도가 일관성이 없으면 이는 아동교육에 막대한 지장을 준다. 6/ 부모는 인내심으…(생략)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 4/ 부모뿐 아니라 온 가족의 태도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6/ 부모는 인내심으…(생략)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hwp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부모의 현명한 태도란 전문가의 진단이 엄연한 사실일 때 그 사실을 일단 받아들이고 그 사실을 긍정하는 태도이. 자녀에게 어딘가 이상이 있는 것 같아서 병원에 찾아가 진단을 받았더니 장애라고 진단이 내려겼을 때 그것을 사실로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것이 부모의 심리이다. 장애아의 교육은 장애아를 비장애아와 같이 만드는 데 있는 것이 아니고 그들 나름대로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최대한으로 길러 주어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것이지 그 이상의 무엇을 바랄 수는 없는 것이므로 부모는 아동 자신을 존재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부모가 죄책감이나 수치심에 사로잡힘으로써 그 마음에는 심한 갈등이 생기며 따라서 마음의 갈등은 불화와 불안, 열등의식만 조장시킬 뿐이다.zip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1/ 될 수 있는 한 빨리 전문가와 상담을 해야 하며 전문가의 진단결과에 따라야 한다.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LA . 장애아는 결코 비장애아와 같을 수 없으며, 장애아를 위한 교육도 비장애아로 만드는 교육이 아님을 부모는 깨달아야 한다. 2/ 부모는 죄악감이나 치욕감에서 해방되어야 한다.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등록 장애아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인간에게는 인정을 받으려는 욕구가 있다. 사실을 사실대로 받아들이고 긍정하는 태도를 빨리 가지면 가질수록 장애아에게는 더 효과적인 새로운 길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5/ 칭찬을 아끼지 말며 항상 애정으로 대해야 하지만 익애는 금물이다. 자녀에게 어딘가 이상이 있는 것 같아서 병원에 찾아가 진단을 받았더니 장애라고 진단이 내려겼을 때 그것을 사실로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것이 부모의 심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