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기술 올립니다 전자공학 - 접합형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 BJT) 다운받기
접합형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 BJT)
1. 접합형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 BJT)란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ansistor 또는 Bipolar junction transistor ; BJT)는 접합형 트랜지스터라고도 불리는 트랜지스터의 일종이다. n-형과 p-형 반도체, 그리고 이들의 접합(接合) 형성과 이용이 개발되었다. N형과 P형 반도체가 P-N-P 또는 N-P-N 의 접합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미터,베이스,켈렉타 :세개의 단자 발진,주파수변환,스위칭 접합형 트랜지스터(FET)집적도가 높다.
2. 접합형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 BJT)역사
- 접합형 트랜지스터는 1947년 Bell 연구소에서 존 바딘, 월터 브래튼 그리고 윌리엄 쇼클리에 의해 발명되었다. 진공관의 전자회로 구현에서 많은 문제가 있다. 크기와 소모전력 그리고 내구성에서 많은 문제를 갖는다. 특히 스위치 개념을 적용할 때, 많은 소자가 필요한데 공간의 한계가 문제가 된다. 그래서 반도체를 이용한 스위치의 필요성이 대두 되어 개발 되었다.
스위치란 결국 전류를 흐르게 하는냐, 흐리지 못하게 하는냐 이다. 소자의 크기와 전력 면에서 반도체를 이용하면 이 문제가 해결 된다. 반도체는 n형과 p형이 있으므로 이것에 제어용 전극을 붙이면 된다. n형의 막대 중간에 제어 전극을 붙이는 방법은 p형을 중간에 끼워 넣는 방법 밖에 없다. p형이라면 n형을 넣으면 전류 제어가 가능해 진다. 이렇게 중간에 제어용으로 삽입 된 전극이 베이스(Base)가 된다. 베이스의 제어 신호는 전류에 따라 제어가 결정 된다. 입력 제어 전류의 몇배 전류가 흘러 스위치 기능이 실현 된다. 보통 전자공학에서 신호 처리는 경험적으로 대부분이 전압으로 표현 된다. 즉, 전압을 증폭하거나 스위치 한다. 베이스에 전압으로 제어를 할 수 있었으면 좋았을 것이나, 우선은 스위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 했을 것이다. 나중에 제어용 입력 신호를 전압으로 하는 소자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개발 되었다.
- 오늘날 집적회로에서 CMOS 사용의 선호로 인해 관심 및 사용이 줄어들고 있으나, 이산회로등에서 접합형 트랜지스터의 잘 알려진 사실과 다양한 소자 선택이 가능해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접합형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 BJT)의 구조
용어
의미
Bipolar(쌍극성)
두개의 극성을 가지며 두 종류의…(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