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의 현재 가족발달 업로드
◑ 가족생활주기- 인간의 생애주기와 마찬가지로 가족생활에도 탄생에서 소멸까지의 일련의 과정에 단계가 있고, 각 단계마다 과업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함.- 성인남녀의 결혼으로 가족이 성립되면 자녀출산, 성장, 결혼, 분가 등의 연속적 과정에 의해 가족의 기능, 형태, 과업 등이 변화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하는 가족생활의 연속적 과정을 가족생활주기라 함.
◑ 가족생활주기는 가족 변화의 시점이 언제이며, 각 시점별 경험하는 사건들은 무엇이며, 그 원인은 어디있으며, 이들 사건에 대해 가족원은 어떻게 대처해 나가는가 등에 관심을 가짐.
◑ 대부분의 가족들은 가족의 구조와 상관없이 특별한 사건이나 단계를 거치게 됨. 즉, 가족자체도 발달주기를 가지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가족생활주기는 젊은 남녀가 결혼하면서 가족생활이 시작되는 단계부터 노부부가 되어 죽음에 이르는 단계를 겪게 됨. 부부가 이러한 가족생활주기의 단계들을 원만히 넘어가기 위해서는 결혼생활에서 주어진 어떤 과업들을 완수해야만 함. 또한 모든 가족은 계속해서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살고 있으며 어떤 주요한 전환점은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음. 따라서 가족의 발달주기에 맞게 가족구성원들의 지위와 관계가 변화하게 될 때 가족은 보다 잘 기능하게 됨.
◑ 의의- 모든 가족이 가족생활주기의 모든 단계를 거치며, 이 단계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경험할 수 있고, 이러한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가족문제의 근원이 될 수 있음.- 가족이 처한 해당 생활주기에서 기대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뿐 아니라 가족원들이 기대하는 욕구들을 가족이 얼마나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알게 해 줌으로써 가족복지 실천 및 개입에 적용할 수 있음.- 가족 형성에서부터 시작되는 가족생활을 전생애적 관점으로 전망해 봄으로써 각 발달단계에이루어야 될 과업, 각 단계에서의 가족들의 기대와 욕구, 잠재되어 있는 문제점, 강점 등을
알 수 있고, 예측, 계획이 가능하여 계획적 가족생활을 운영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주기도 함.
1. 가족생활주기의 단계◑ 가족주기의 단계를 구분 짓는 기준은 연구자마다 다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기준은 자녀의 출산, 첫 자녀와 막내 자녀의 연령, 첫 자녀와 막내 자녀의 출가나 결혼, 은퇴 시기 그리고 배우자 사망 등임.
◑ 듀발(Duvall) : 가족생활주기를 결혼전기, 신혼기…(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