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인이론의 적용사례 보고서
[목차]
1.머리말
어떤 행동을 하면 반드시 결과가 따른다. 이 결과가 자신에게 유쾌할 수도, 불쾌할 수도 있다. 원인 없는 결과 없듯이, 결과에는 반드시 원인이 뒤따른다. 여기서 우리는 귀인을 거쳐 그러한 행동을 한 사람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고, 또 그에 대한 앞으로의 반응이 달라지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이 과제에서는 먼저 귀인의 개념을 상기한 다음,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귀인의 사례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2. 귀인의 정의(歸因/attribution)
우리는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을 보고, 그 행동의 진실한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추론한다. 또한 사람을 지각할 때, 신뢰로운가, 외향적인가, 냉정한가 등으로 평가한다. 이렇게 행동의 원인을 추론하는 과정을 귀인이라 한다.
3. 귀인의 주요 차원
귀인이론은 상대방이 취한 행위나 사건이 “왜 발생했는가” 를 파악하는 과정을 다룬다.
귀인 차원에서 파악되어지는 내용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①원인의 소재(내적귀인ㆍ외적귀인): 귀인에서 가장 중요한 차원이라고 여겨지는 것이다. 상대방의 행위의 진정한 원인이 그의 내적인 노력, 성격, 능력, 정서, 의도, 태도 등에 의한 것인가, 아니면 상황적 압력, 타인의 강요, 날씨, 운수, 과제의 난이도 등 외적인 요인에 의한 것인가를 파악하는 차원이다.
능력과 노력은 내적 요인이 될 수 있고, 학습과제의 난이도와 재수는 외적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
②안정성 차원(안정적ㆍ불안정적): 이는 원인요소가 안정적이냐 또는 불안정한 것이냐의 차원이다. 내적 요소 중에서도 능력, 지능, 성격 같은 것은 안정적이며, 노력, 정서, 건강, 기분 같은 것은 불안정적인 요소이다. 외적 요소 중에서도 법, 규칙 등은 안정적이라 보겠고, 날씨, 운수, 상황역할 등은 불안정적인 요소라 하겠다.
예를 들어 능력과 학습과제의 난이도는 안정성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고, 노력과 재수는 발안정한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