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인구문제 등록
[목차]
인구론이라 하면 누구나 맬서스(Th. R. Malthus. 1766~1834)를 연상한다.맬서스 이전의 인구학자들이 대부분 인구를 추상적이고 공상적인 수준에서 논의한 반면,맬서스에 이르러 인구연구를 체계적,과학적 수준으로 올려놓았기에,우리는 맬서스를 근대 인구이론의 창시자라고 부른다..... 우리 나라는 1960년대 초부터 정부와 민간단체가 주도,협력하여 실시한 가족계획사업을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출산율을 억제하는데 성공한 대표적인 나라로 꼽힌다. 출산율은 계속적으로 떨어져 1970년 4.5명,1980년 2.8명,1990년 1.6명,1999년 1.4명으로 특히 지난 10년 이상 출산수준이 대체수준을 밑돌고 있으며,이는 선진국 평균수준보다도 낮기에 우리를 놀라고 당혹스럽게 만들고 있다.이제 우리는 저출산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현재 우리 사회에는 만혼,독신,이혼,별거 등 혼인력을 낮추는 혼인양식이 제도화되고있다. 이에 더하여 다자녀 기피현상과 더불어 소자녀에 대한 가치가 내면화되어 있다.출산율이 증가할수 있는 여건을 위한 제도적 변화는 찾아보기 힘든 불리한 조건에 놓여있다. 출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정책에 드는 비용이나 노력은 과거 출산을 감소시키기 위해 들였던 비용이나 노력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