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경제학 요점정리 노트 레폿
[목차]
1. 미시경제학의 본질 및 개념정의
경제학은 분석대상에 따라 흔히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으로 크게 분류된다. 미시경제학에서는 소비자, 기업 및 자원소유자 등의 개별경제주체들의 경제행동원리를 다루게 된다. 미시경제학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가격체계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미시경제학을 통해 기업과 정부가 직면하는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개별 소비자로서 우리가 누구나 직면하게 되는 경제문제나 정책담당자들이 처하게 되는 문제 해결에도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거시경제학은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을 기초로 하여 성립되지만, 분석의 최종적 목적은 개별상품의 생산량이나 또는 개별소비자들의 소득결정보다는, 한 나라 전체의 소득, 고용, 물가 등이 어떻게 결정되는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미시경제학에서는 개별상품의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가에 분석의 목적이 있는 반면 거시경제학에서는 전체적인 물가지수에 의해 나타나는 물가수준이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에 분석의 목적이 있다. 비록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의 분석 목적이 서로 다르지만 두 분야의 경제학은 서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한 나라 전체의 소득, 고용, 물가, 국제수지 및 성장률 등이 거시경제학의 분석대상이기는 하지만, 그러한 경제 지표들은 결국 개별경제주체들의 경제행위에 의해 결정되며 따라서 거시경제학도 미시경제학을 기초로 하게 된다.
2. 미시경제학에서의 수요와 공급 이론
<가격의 종류>
절대가격, 상대가격(Px/Py -> Y재 수량 : 가격으로 나눈 것은 아랫것의 수량), 잠재가격(재화의 기회비용), 계산가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