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리어트 호텔의 경영전략분석 업로드
[목차]
* MARRIOTT INTERNATIONAL
(2) 관계 마케팅
* JW marriott Seoul
1) 소개
2) 입지
(1) 위치
(2) 관련 입지 상가
3) 메리어트 주변상권
(1)상권인구
(2)유동인구
(3)상권의 특성
4) 매리엇 서울의 영업 현황
5) SWOT 분석
* Marriott International
1) marriot international 소개
하나의 작은 간이식당으로 시작한 [핫숍]은 식당 체인을 늘리고, 기내식, 단체 급식 사업에 진출하면서 사업다각화를 꾀하고 있었다. 1957년 자동차 여행객 대상 호텔인 [트윈브리지스 호텔(Twin Bridges Marriott Motor Hotel)]로 시작한 호텔사업이 성공을 거듭하는 것은 [메리어트]의 사업 다각화 중 일부였다. [메리어트]가 [메리어트 호텔]이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호텔을 가지게 된 것은 상표 프랜차이즈 덕분이다.
[메리어트]는 호텔을 소유하기 보다는 호텔을 지어 팔고 다시 그 경영을 대행하며, 그 매각자금으로 또 다른 호텔을 건설하는 식으로 그들의 호텔을 늘려갔다.
호텔업의 특성상 전세계 어느 곳을 가더라도 [메리어트]를 만날 수 있어야 고객들에게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70년대에 [메리어트]는 적극적으로 사업다각화를 시작하였다. 하지만 여행사, 유람선, 놀이공원 등은 기대한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 이들 사업에서는 실패를 안고 물러 설 수밖에 없었다. 이 실패로 깨달은 것은 `해서는 안 되는 사업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들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은 [메리어트]의 시발점인 식음사업과, 숙박사업이라는 것을 알게 되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 [메리어트]는 [디즈니(Disney)]를 인수할 기회가 있었지만 하지 않았다. 그것은 [메리어트]가 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80년대에는 호텔산업의 전혀 다른 시장층을 겨냥하며 뛰어들었다. 특급호텔 체인인 [메리어트]가 중가격대 호텔인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Courtyard by Marriott)]를 여는 것은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