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의 해부학적 특성 다운로드
 



[목차]
 

1.해부학적 특성

2. 수영의 에너지 대사과정

3.수영과 산소 섭취량

4. 수영에서 필요한 근섬유

5. 조사를 하면서 느낀점

6.인체해부도




1. 자유형
자유형에서 팔동작과 다리의 동작은 60:40, 70:30으로 나타내고 있다. 팔동작에 있어서 손바닥이 물에 들어가면서 입수하여 앞쪽으로 어깨를 신전시킬 때는 지배환경의 근피신경과 요골신경, 부신경 및 경신경총근지의 상완근과 승모근이 작용하여 물에 끌어 당길때는 전완을 약간 굽히고 관절의 근육을 작용시킨다.
이 때 팔의 내전을 대흉근이 사용되고 팔을 밑으로 누를 때 즉 다운스윕은 견갑골이 사용된다. 또한 물을 밀어낼 때 인스윕은 손목과 손가락의 굽힘은 각이 잘 이루어져야 하며 강하게 해야 한다. 물 밖으로 팔을 되돌리기 할 때 업스윕은 팔을 빼어 올리는 동작으로 액와신경, 흉배신경, 견갑하신경의 삼간근후부, 광배근, 대원근이 수축되면서 이루어진다. 물 빡으로 나온 팔의 동작의 리카버리 상태는 팔꿈치가 손끝보다 위에 있어야 하는데 이 때 액와신경의 삼각근 부위가 이용되며 발차기 동작이 시작되면서 힙, 허벅지, 무릎, 종아리, 발목을 길게 신전시켜서 움직인다. 이 때 사용되는 근육은 허리의 늑간신경의 복직근, 허벅지의 비골신경과 결골신경의 대퇴이두근, 경골신경의 비복근이 사용되고 있다.

2. 배영
팔동작은 입수, 캐취, 다운-스윕, 업-스윕, 마지막 다운-스윕, 마지막 리카버리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활배근, 견갑하신경의 대원근, 근피신경과 요골신경의 상완근, 삼두박근, 이두박근, 삼완요골근이 이용된다. 다리의 동작은 자유형 kick의 형태를 거꾸로 뒤집어 실시하는 것과 비슷한 동작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실시하는 것과 비슷한 동작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배영의 발차기는 자유형의 발차기 보다 조금 더 깊은 곳에서 다리의 힘은 빼고 허벅지를 움직여서 발등으로 가볍게 위로 올려찬다. 이때 동원되는 근육은 대둔근, 대퇴직근, 가자미근이 사용된다.

3. 평영
팔동작을 실시할 경우 캐취와 다운-스윕, 즉 물을 잡아 당길 경우 견갑골은 아래로 향하고 견갑하신경의 대원근, 흉배신경의 광배근, 부신경 및 경신경총근의 승모근이 작용되고 이 때 손목은 약간 외측(바깥)과 후방으로 향한다.
인.스윕이 시작될 때 물을 누르면서 팔꿈치 높이에 손이 왔을 때 견갑하신경의 대원근, 부신경 및 경신경총근의…(생략)

 

수영의 해부학적 특성.hwp 수영의 해부학적 특성.hwp 수영의 해부학적 특성.hwp 수영의 해부학적 특성.hwp 수영의 해부학적 특성.h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제목
potato FH
건축 자료실 건설안전기사 실기2차 필답형 과년도 문제 모음 자료 FU
potato OO
potato SG
1%가 차이를 부른다 다운 HH
potato ZI
통합교육의 협력적 접근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역할과 책임 및 협력내용,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에 대해서 설명하고, 협력을 통한 기대효과에 대해 서술하시오 (특수아동통합교육) 레포트 OE
potato JV
만2세 영아 10명 1학기 관찰일지 (관찰기록+발달평가) DownLoad DN
롯데푸드 김천공장 자료실 시설관리(공무) 냉동 BEST 우수 자기소개서 보고서 NN
potato WC
독후감,감상문 자료실 영화 자료실 네버렛미고Never Let Me Go 자료실 에 나타나는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특징 분석 레폿 PQ
공통교양과목 자료등록 방송통신대 사회문제론 다음 추천도서 중 한 권 이상을 읽.. Down XW
현대홈쇼핑 온라인마케팅 지원서 작성 가이드 디지털마케팅 자기소개서 보고서 FC
수영의 해부학적 특성 다운로드 JA
사회복지사 현장실습 올립니다 지역아동센터 기관분석보고서 (A+받은자료) 보고서 PS
영아 발달평가 2학기 만1세 9명 보고서 EP
쌍용건설합격 자기소개서 자료 합격 쌍용 건설, 자소서 이력서, 예문 레포트 ZL
부 동 산 매 매 계 약 서 보고서 WW
사회복지법의 형성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나라 사회복지법 중 하나를 선정하여 법의 개념 및 향후 개정되어야 할 내용에 대해 본인의 생각을~ Up J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