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과 2학년 단증류실험 결과보고서 업로드
[목차]
내삽법 = y=y2-y1/x2-x1 X (x-x1) + y1
이때 내삽법으로 구하고자 하는 것은 %구간에서의 정확한 중간 값이므로 y2,y1은 에탄올의 조성구간이며 x2,x1은 더큰 구간값의 밀도와 더 작은 구간값의 밀도이다. x는 실험에서 측정된 밀도이다.
내삽법을 통해 구한 값 40.9%가 나왔다.
실험기구들의 무게
빈 플라스크 : 183.95g
비커 : 61.40g
측정값
수용액
잔류액
유출액
손실
비중병
+용액의 무게
42.51g
43.04g
40.49g
빈
플라스크
무게
183.95g
183.95g
플라스크 + 용액의 무게
288.83g
밀도
0.93308g/mL
0.95327g/mL
0.85615g/mL
양
138.38g
32.27g
+1.23
조성
40.9%
30.8%
74.8%
용액 A의 양
56.60g
31.57g
24.30g
+0.73
6. 수용액의 양과 조성 및 잔류액의 조성으로부터 잔류액 양의 이론값을 구하시오.
137.29g이 남아야 한다.
이값을 도출 해내려면 레일리식을 이용하여야 한다
레일리식
W1 = 수용액의 양
W2 = 잔류액의 양
I1 = 그래프에서 수용액의 조성에서 읽은 값
I2 = 그래프에서 잔류액의 조성에서 읽은 값
(사진은 우리 실험값과 상관없습니다)
I1 = 0.022
I2 = 0.xxx
이값들을 이용해 W2를 구하면
-0.012 = ln (x/138.38) = 137.29g이 나온다
7. 위의 문제에서 구한 잔류액의 양의 이론값을 이용하여 유출액의 조성을 구하시오
위의 식을 이용해 유출액의 조성을 구할 수 있다.
X1=수용액의 조성
X2=잔류액의 조성
=73.03%
2차시 실험
빈
비중병
증류수 +비중병
지급된 용액
+비중
...
본문텍스트부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