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출청소년을 위한 가족 프로그램 자료
[목차]
3. 이론적 틀(접근방법)과 예전 프로그램에 대하여...
<접근방법의 이론>
전통적 임상 모델은 학습 잠재력을 방해하는 사회적·정서적 문제를 가진 개별 학생에게 초점을 두고 있다. 이 모형은 초기에는 정신분석학에 이론적 근거를 두었고, 그 이후에는 자아심리학에 근거를 두었다. 모형의 주요한 가정은 개별학생 및 학생의 가족이 역기능적이고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학교사회사업가는 학생과 그의 가족에게 개별사회사업서비스를 제공한다. 의뢰는 제 3자의 개입 혹은 재활이 요구되는 학생을 비행에 따라 교장과 교사가 한다.
학교사회사업가의 우선적 과업은 개별사회사업이고 교사나 부모와의 면담 그리고 전문적 치료를 위하여 지역사회 관련 기관에 학생을 의뢰하는 것이며, 자주 사용되어지는 역할은 격려자, 지지자, 상담가의 역할이다.
이 모형의 목표는 어려움을 가진 학생에게 학교 조직 내에서 더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가능성을 부여하고, 최적조건에서 학교경험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 이론은 문제의 원인이 부모, 자녀와 가족관계의 어려움으로부터 생긴 학생 내부의 감정적 또는 정신적 어려움에 있다고 가정한다. 학교는 학생의 어려움에 관하여 수용적이고, 역기능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본다.
주로 학생과 그의 부모에게 가능성을 부여하고 지지해주며 학생 개개인을 돕는 방향으로 학교 내에서 협력하고 상담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이론적 틀에 근거를 하여,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정에 개입하여 개별 및 집단 상담과 여러 활동 프로그램등 향상될 가능성을 부여할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