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밀러(Arthur Miller)의 “The Crucible(시련)” 분석 보고서
[목차]
● 애비게일 윌리암스의 구체적 인물 분석
▣ 등장 인물의 기능에 따른 애비게일의 행동 삼각형
▣ 애비게일의 성격 종류 파악
▣ 성격 창조 방법에 따른 애비게일 분석
● 존 프락터의 구체적 인물 분석
1) 외모 및 신체적 특성
2) 대사언어
▣ 프락터의 변화
▣ 프락터가 거짓자백을 하지 않고 죽음의 길을 택하는 이유
▣ 프락터의 비극적 결함
▣ John Hale 목사: 권력핵심 세력과 피압박 세력의 중간에 위치.
▣ 프락터의 아내 엘리자베스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다루는 데 있어서 밀러는 개인의 내적 요소와 사회적 힘 사이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유지시키고 있는데 초기 작품에서 주로 사회적 불의를 강조하고 있는 반면 후기 작품으로 갈수록 개인의 내면 세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때 개인의 내면 세계란 신경증적 현실 회피나 사적 관심사가 아니라 외부의 힘에 직면한 주인공이 적극적이고 비장한 의지를 통해 자아인식의 경지에 이르는 모습을 말한다.
따라서 평범한 인간에 지나지 않던 주인공은 비극적 고매함을 지니게 되고 결국은 고전적 비극에서와 같은 영웅적 성격을 보여 준다.
사회나 타인과의 갈등에서 파국에 이르지만 결정적 순간에 anagnorsis을 경험함으로써 비극적 주인공이 창조되고 나아가서 인간에 대한 낙관적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 밀러의 비극이라고 요약할 수 있겠다.
2. 작품 설명
1) 시대적 배경
『시련』은 미국 메사추세츠(Massachusetts)주 세일럼(Salem) 마을에서 일어난 마녀 처형 사건을 밀러가 4막으로 극화한 작품으로서 반미활동을 벌인 자들을 색출하려는 맥카시즘(McCarthyism)선풍과 관련된 밀러 자신의 경험을 엮은 극이다.
『시련』이 발표된 것은 1953년이다. 중세 유럽의 역사에서도 종종 발견할 수 있고 미국에서는 1692년 특히 세일럼의 마녀사건을 통해서 널리 알려진 이른바 마녀 재판을 다룬 이 작품은 때마침 맥카시즘의 회오리가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