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복지,사회보장,사회복지법제 다운로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다운받기
[목차]
현재 우리사회가 겪고 있는 경제위기와 이에 따른 대량실업의 문제는 우리가 본격적으로 산업화에 매진했던 60년대 이후 최초로 경험하는 미증유의 사태로서 우리 사회의 근간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더욱이 사회적 위험에 대비한 공적 소득보전제도가 낙후되어 실업, 교육, 의료, 노후생활 등에 대한 대처를 거의 전적으로 시장임금(market wage)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에서 실업자들이 받는 생활상의 곤란은 선진 복지국가보다 훨씬 클 뿐만 아니라, 가족의 생존을 위협하는 상황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최근 정부연구기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실업가구의 생계비조달은 주로 사적인 자산에 의존하고 있는데, 전체 실업가구중 실업급여와 생활보호에 의한 정부의 보조금 등으로 생계를 꾸려 가는 가구의 비중은 각각 7.4%와 2.3%에 지나지 않아, 국가의 공적인 프로그램의 역할이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남. 그 결과로 현재 소득이 최저생계비에 미치지 못하는 빈곤실업가구의 비율은 61.0%이다. 이러한 생활상의 곤란으로 인한 가족해체 현상이 가속화되어, 결식아동과 노숙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생계형 범죄가 창궐하고 있다. 위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실업가구 중 23.9%가 부부간의 갈등을 보이며, 아동에 대한 사교육 중단(24.1%), 학령 자녀들의 성적저하(17.6%), 자녀비행 증가(6.6%) 등 자녀교육상의 문제가 실업으로 인하여 발생되었다고 응답한다. 더욱이 이들 가구 중 경제적 이유로 부모를 시설이나 친지에게 위탁한 가구(1.3%), 아동을 시설이나 친지에게 위탁한 가구(2.0%) 중의 상당수는 실업이 장기화될 경우 가정분리→ 해체→ 노숙의 과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된다. 생계형 범죄 역시 매우 우려할 수준으로 급증하고 있는…(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