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기업의 기술 혁신 전략 자료
일본기업의 기술 혁신 전략
1장 서론
제품 시장의 기업 대응
기존 제품 시장의 지배적 위치 기업의 경우 방대한 지식을 보유하나 새로운 제품 아키텍처에 대한 형성이 어려움
새로운 제품 아키텍처 창조를 위하여 기존 아키텍처 지식에 대한 제약을 극복하거나 조직 내부의 컴포넌트와 관련된 지식을 흡수 혹은 활용하여 조직 전략을 모색하도록 하여야 함
2장 제품 아키텍처 개념과 변화
제품아키텍처의 조직 내부 지식 축척
제품의 아키텍처 지식: 기능의 조합과 배치, 기능과 컴포넌트 사이 대응 정보 노하우
컴포넌트 지식: 컴포넌트와 관련된 정보와 노하우
제품아키텍처
개념
제품 기능을 물리적인 컴포넌트로 배치하는 스킴(운영과 관련된 계획, 제도)이나 디자인 룰, 기능과 컴포넌트로 구성된 위계구조
위계구조란 서로 관련되는 몇 개의 하위계층으로 구성되어 그 하위계층이 또 순차적으로 하위계층과 연결
기존 제품에 대하여 제품 아키텍처의 변화를 통하여 새로운 제품을 생성하도록 함.
구성요소
어떤 제품을 개발할 때 상정되는 기능의 묶음/ 기능의 묶음을 실현하는 물리적 컴포넌트의 디자인과 배치, 기능의 배열 /기능과 컴포넌트의 대응 / 상호작용하는 컴포넌트 간 인터페이스의 특정화
아키텍처 유형
- ‘통합형 아키텍처’ 기능과 컴포넌트 관계가 서로 다 대 다 대응, 컴포넌트 간에 기능적
상호의존성과 구조적 상호 의존성이 높아 인터페이스를 특정화하기 어려운 아키텍처
(ex. 승용차)
-’모듈형 아키텍처’ 제품의 기능과 컴포넌트가 일 대 일 대응관계, 인터페이스가 분리&특정 화되어 컴포넌트간의 기능적 상호의존성과 구조적 상호의존성이 낮음(ex. 데스크톱PC)
제품진화 과정
‘유동적 단계’ 제품의 기능적 퍼포먼스가 중시되어, 보다 고도의 퍼포먼스를 위한 제품의 구조와 기능의 빈번한 변경 (비효율적-유동적 변화 신속대응, 비공식적 룰 구조 통제, 기능 퍼포먼스 중심 아키텍처 간 경쟁)
’특정화 단계’ 출현하는 다양한 제품 가운데 지배적 디자인 결정(제품 비용 삭감, 효율적 자본 집약적 대량생산 체제, 특정 제품 생산 전문화로 변화에 따른 비용이 상승, 룰이 중시되는 공식적 통제가 이루어짐, 아키텍처 제품의 생산 비용과 생산과정에서의 경쟁 이행)
제품 아키텍처 변화 유형
통합형 아키텍처에서 모듈형 아키텍처…(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